우리나라 화폐단위, 특히 동전에는 1원, 5원, 10원, 50원, 100원, 500원이 있다. 이 동전들로는 정수의 금액을 만들 수 있으며 그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. 예를 들어, 30원을 만들기 위해서는 1원짜리 30개 또는 10원짜리 2개와 5원짜리 2개 등의 방법이 가능하다.
입력의 첫 줄에는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T(1 ≤ T ≤ 10)가 주어진다.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 번째 줄에는 동전의 가지 수 N(1 ≤ N ≤ 20)이 주어지고 두 번째 줄에는 N가지 동전의 각 금액이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주어진다. 각 금액은 정수로서 1원부터 10000원까지 있을 수 있으며 공백으로 구분된다. 세 번째 줄에는 주어진 N가지 동전으로 만들어야 할 금액 M(1 ≤ M ≤ 10000)이 주어진다.
편의를 위해 방법의 수는 2^31 - 1 보다 작고, 같은 동전이 여러 번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출력
각 테스트 케이스에 대해 입력으로 주어지는 N가지 동전으로 금액 M을 만드는 모든 방법의 수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입력 예시
3
2
1 2
1000
3
1 5 10
100
2
5 7
22
출력 예시
501
121
1
풀이
동전으로 나타낼 수 있는 금액합, 배낭 문제는 대표적인 DP문제라고 볼 수 있겠다. 당장 비슷한 문제를 풀이한 적도 있고....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for _ in range(int(input())) :
N = int(input())
num_list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
M = int(input())
dp = [0]*(M+1)
dp[0] = 1
for num in num_list :
for i in range(M-num+1) :
dp[i+num] += dp[i]
print(dp[-1]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