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째 줄에 피연산자의 개수(1 ≤ N ≤ 26) 가 주어진다. 그리고 둘째 줄에는 후위 표기식이 주어진다. (여기서 피연산자는 A~Z의 영대문자이며, A부터 순서대로 N개의 영대문자만이 사용되며, 길이는 100을 넘지 않는다) 그리고 셋째 줄부터 N+2번째 줄까지는 각 피연산자에 대응하는 값이 주어진다. 3번째 줄에는 A에 해당하는 값, 4번째 줄에는 B에 해당하는값 , 5번째 줄에는 C ...이 주어진다, 그리고 피연산자에 대응 하는 값은 1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.
후위 표기식을 앞에서부터 계산했을 때, 식의 결과와 중간 결과가 -20억보다 크거나 같고, 20억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.
출력
계산 결과를 소숫점 둘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입력 예시
5
ABC*+DE/-
1
2
3
4
5
출력 예시
6.20
풀이
후위 표기식의 이해를 요구하는 문제. 기본적으로 스택 자료구조를 이용해 풀이할 수 있다.
숫자 : 숫자가 들어왔다면 스택에 바로 push한다.
연산자 : 연산자가 들어왔다면, 스택에서 두 수 a, b를 pop한다. (두 수의 순서에 주의하자) a, b의 연산자를 사용한 연산결과를 스택에 push한다.
숫자 대신 문자열이 들어오므로, 문자열과 매칭되는 숫자를 매핑할 수 있는 딕셔너리를 이용하면 편하다.
풀이 코드
N = int(input())
cal_list = input().strip()
cal_dict = dict()
stk = list()
for i in range(N) :
cal_dict[chr(ord('A') + i)] = int(input())
for c in cal_list :
if c in ['+', '-', '/', '*'] :
b = stk.pop()
a = stk.pop()
if c == '+' :
a += b
elif c == '-' :
a -= b
elif c == '/' :
a /= b
else :
a *= b
stk.append(a)
else :
stk.append(cal_dict[c])
print('{:.02f}'.format(stk[0])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