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째 줄에 네 개의 소수를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출력한다. 불가능한 경우는 -1을 출력한다.
입력 예시
38
출력 예시
5 7 13 13
풀이
1. 1부터 N까지의 소수를 모두 알아내야만 하며, 이를 위해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기법을 사용할 수 있겠다. 목표하는 최댓값 N의 약수는 최대 sqrt(N)까지 탐색함으로써 모두 알아낼 수 있으므로, [2, sqrt(N)] 범위 내에서 이 기법을 적용하도록 하자. 이 때 최종적인 시간복잡도는 O(NloglogN)이 된다.
2. 두번째로, 완전 탐색으로 합이 N임을 만족하는 네 소수를 구할 때이다. 우리는 에라스토테네스의 체로 어떤 수가 소수인지 아닌지 여부를 이미 전부 구한 바 있다. 따라서 O(p^3) (p는 prime number의 개수) 내에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볼 수 있겠다 (소수인 수 i, j, k가 있다면, 남은 한 수 l = (N - i - j - k)가 소수인지 여부만을 판정해보면 된다)
풀이 코드
N = int(input())
M = int(N**0.5)
is_prime_num = [True for _ in range(N+1)]
is_prime_num[0] = is_prime_num[1] = False
for i in range(2, M+1) :
if is_prime_num[i] :
for j in range(i*2, N+1, i) :
is_prime_num[j] = False
prime_num = list()
for i in range(2, N+1) :
if is_prime_num[i] :
prime_num.append(i)
w = len(prime_num)
for i in range(w) :
for j in range(i, w) :
for k in range(j, w) :
if prime_num[i] + prime_num[j] + prime_num[k] < N and is_prime_num[N - prime_num[i] - prime_num[j] - prime_num[k]] :
print(prime_num[i], prime_num[j], prime_num[k], N - prime_num[i] - prime_num[j] - prime_num[k])
exit()
print(-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