새소식

PS/백준

[백준/2583] 영역 구하기 (Python)

  • -

Problem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583

 

2583번: 영역 구하기

첫째 줄에 M과 N,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. M, N,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, y좌표값과 오

www.acmicpc.net

 

Difficulty : Silver 1

 

Status : Solved

 

Time : 00:09:20

 


 

문제 설명

 

더보기

눈금의 간격이 1인 M×N(M,N≤100)크기의 모눈종이가 있다. 이 모눈종이 위에 눈금에 맞추어 K개의 직사각형을 그릴 때, 이들 K개의 직사각형의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진다.

예를 들어 M=5, N=7 인 모눈종이 위에 <그림 1>과 같이 직사각형 3개를 그렸다면, 그 나머지 영역은 <그림 2>와 같이 3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게 된다.

<그림 2>와 같이 분리된 세 영역의 넓이는 각각 1, 7, 13이 된다.

M, N과 K 그리고 K개의 직사각형의 좌표가 주어질 때, K개의 직사각형 내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몇 개의 분리된 영역으로 나누어지는지, 그리고 분리된 각 영역의 넓이가 얼마인지를 구하여 이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입력 및 출력

 

더보기

입력

첫째 줄에 M과 N,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. M, N,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,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,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.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(0,0)이고,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(N,M)이다.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.

 

출력

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.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.

 

입력 예시

5 7 3 0 2 4 4 1 1 2 5 4 0 6 2

 

출력 예시

3 1 7 13

 

 


 

풀이

 

고전 탐색 문제. 구조는 이 문제와 동일하다.

 

2022.12.02 - [알고리즘 문제/CodeUp] - [CodeUp/2839] 활동 영역 (Python)

 

[CodeUp/2839] 활동 영역 (Python)

Problem : https://codeup.kr/problem.php?id=2839&rid=0 Status : Solved Time : 00:09:11 문제 설명 더보기 GS라는 물고기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. GS는 수온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, 안정적으로 활동할 수 있다고 한다.

magentino.tistory.com

 

...이런 문제는 이제 타자연습이 아닐까 싶다.

 

 

풀이 코드
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x = [-1, 1, 0, 0] dy = [0, 0, -1, 1] N, M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 fill_list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K)] map_list = [[False]*M for _ in range(N)] def fill() : for x1, y1, x2, y2 in fill_list : for x in range(x1, x2) : for y in range(y1, y2) : map_list[y][x] = True def dfs(x, y) : result = 1 q = deque([(x, y)]) map_list[y][x] = True while q : x, y = q.pop() for k in range(4) : ax, ay = x+dx[k], y+dy[k] if -1 < ax < M and -1 < ay < N and not map_list[ay][ax] : result += 1 map_list[ay][ax] = True q.append((ax, ay)) return result def search() : result = list() for i in range(N) : for j in range(M) : if not map_list[i][j] : result.append(dfs(j, i)) return sorted(result) def solve(): fill() result = search() print(len(result)) print(*result) solve()

 

Contents

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

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