첫째 줄에 M과 N, 그리고 K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. M, N, K는 모두 100 이하의 자연수이다. 둘째 줄부터 K개의 줄에는 한 줄에 하나씩 직사각형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x, y좌표값과 오른쪽 위 꼭짓점의 x, y좌표값이 빈칸을 사이에 두고 차례로 주어진다. 모눈종이의 왼쪽 아래 꼭짓점의 좌표는 (0,0)이고, 오른쪽 위 꼭짓점의 좌표는(N,M)이다. 입력되는 K개의 직사각형들이 모눈종이 전체를 채우는 경우는 없다.
출력
첫째 줄에 분리되어 나누어지는 영역의 개수를 출력한다. 둘째 줄에는 각 영역의 넓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여 빈칸을 사이에 두고 출력한다.
from collections import deque
dx = [-1, 1, 0, 0]
dy = [0, 0, -1, 1]
N, M, K = map(int, input().split())
fill_list = [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_ in range(K)]
map_list = [[False]*M for _ in range(N)]
def fill() :
for x1, y1, x2, y2 in fill_list :
for x in range(x1, x2) :
for y in range(y1, y2) :
map_list[y][x] = True
def dfs(x, y) :
result = 1
q = deque([(x, y)])
map_list[y][x] = True
while q :
x, y = q.pop()
for k in range(4) :
ax, ay = x+dx[k], y+dy[k]
if -1 < ax < M and -1 < ay < N and not map_list[ay][ax] :
result += 1
map_list[ay][ax] = True
q.append((ax, ay))
return result
def search() :
result = list()
for i in range(N) :
for j in range(M) :
if not map_list[i][j] :
result.append(dfs(j, i))
return sorted(result)
def solve():
fill()
result = search()
print(len(result))
print(*result)
solve()